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
- 반환경정책 즉각 폐기
- 신고리5.6호기 건설중단
- 신공항반대
- 가덕도신공항반대
- 헌정파탄
- 경주가려면 탈핵대책 챙겨가라
- 설악산
- 연이은지진.대책없는정부규탄
- trees for the earth
- 한국환경회의
- earth hour
- 일회용컵보증금제
- 불안해서 살수가없다
- 설악산 케이블카
- 박근혜퇴진
- 1회용컵보증금제
- 기억하자 후쿠시마
- 윤석열정부OUT
- 설악산을그대로
- 핵발전소 지진대책마련하라
- 규제프리존반대시민사회연대
- 기후위기대응
- 이런나라에서살수없다
-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국민행동
- 윤석열정부
- 한화진
- 박근혜 즉각퇴진
- 최순실표케이블카
- 케이블카
- Today
- Total
목록성명서 및 보도자료/2021년 (14)
한국환경회의
새만금 해수유통 명시하고, 수산업 복원대책 마련하라! 정부와 새만금위원회는 지난 2020년 11월 24일, 새만금위원회 회의에서 새만금을 대한민국 ‘그린뉴딜1번지’로 만들겠다고 제시했다. 그리고, 이번 새만금기본계획 변경의 핵심 방향도 새만금을 ‘그린뉴딜과 신산업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해수유통 없는 새만금 그린뉴딜은 반쪽짜리에 불과하며, 재생에너지 클러스터와 수소에너지 개발을 중심으로 한 새만금그린뉴딜은 또 다른 개발과 성장에 불과하며, 새만금을 두 번 죽이는 것이다. 2020년 새만금호를 담수화한다는 정부의 계획은 이미 실패했다. 환경부조차도 담수화로는 목표수질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용역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한국농어촌공사가 새만금 농업용지의 용수를 새만금호 외부에서 공급하는 것으로 ..
한정애 환경부 장관 후보자에게 묻는다. 무엇하나 해결되지 않은 산적한 환경현안, 후보자의 입장은 무엇인가 환경부가 새로운 장관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20일에는 청문회를 통해 신임 장관 후보자에 대한 검증이 국회에서 시작될 예정이다. 지금 우리는 산적한 환경현안 앞에 놓여있다. 제주도와 가덕도를 비롯한 새로운 공항 건설, 지역발전과 새로운 관광수요라는 이름으로 훼손될 설악산과 지리산, 단군 이래 최대의 난개발 사업이라는 오명의 4대강 사업, 그리고 코앞에 닥쳐온 기후위기까지. 환경정책의 주무부처인 환경부의 새로운 장관 후보자는 이에 대한 어떤 해결책을 갖고 있는가 묻지 않을 수 없다. 새로운 공항으로 고통받을 제주도와 가덕도 제주 제2공항 찬반 여론조사가 시작될 예정이다. 관광객 증가, 각종 대규모..